환자의 마음을 먼저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방식에서 접근하는 한의사가 되겠습니다.
안구건조증은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합니다. 대부분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층에 이상이 생겨 생활에 불편함을 주게됩니다.
눈물은 하루 종일 일정량 지속적으로 생성되어 눈의 전면에 눈물층을 형성하여 눈을 부드럽게 윤활시켜 주고 살균작용의 역할을 합니다.
안구건조증은 환자의 체질과 기혈의 분포에 따라 침과 한약등을 처방해 증세를 호전시켜야 합니다.
눈물 또는 눈물층이 불안정한 경우 대부분 눈의 불편감을 호소하게 됩니다. 또 어떤 경우는 오히려 눈물이 더 나온다고 호소하기도 하는데 이는 이물감 등의 자극에 대한 반사작용으로 눈물이 더 나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대부분 오후가 되면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장시간 독서, 컴퓨터 앞에서 오래 작업하는 경우, TV 시청 등 눈을 오래 사용하는 경우에 증상이 더 심해지게 됩니다.
아파트 등 건조한 실내 환경이나 바람이 부는 외부로 나갔을 경우에도 더 심한 증상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각막에 쉽게 상처가 생기고 손상으로 인한 염증으로 시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조증세가 수 개월 이상 진행되고 있다면 안구건조증의 원인을 찾아내고 원인에 따른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01. 눈물 생성이 부족한 경우
02. 눈물층의 이상으로 눈물이 과다 또는 건조되어 생기는 경우
03. 약물의 부작용(고혈압, 이뇨제, 항히스타민, 피임약 등)의 경우
04. 노화, 갱년기에 따른 여성 호르몬 감소의 경우
05. 갑상선 항진증 및 만성염증에 의한 경우
인체를 이루고 있는 근육과 피부를 주관하는 간기능, 뼈와 인대에 작용하는 담을 동시에 해독하는 치료법입니다.
경락의 불균형과 정체를 치료하여 통증을 해소합니다.
한약재에서 추출한 약액을 정제 또는 희석하여 염증 및 통증을 경감시켜주는 치료방법입니다.
혈류를 개선하고, 어혈, 담음과 같은 병리적인 대사물들을 해소합니다.